목록WIL (8)
2022
react 컴포넌트 선언하는 방식은 클래스형과 함수형이 있다. 과거에는 클래스형 컴포넌트를 주로 사용했지만, 리액트 버전 16.8부터 훅(Hook)이 등장하면서 함수형 컴포넌트에서도 상태값과 생명 주기 함수 코드를 작성 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클래스형 컴포넌트를 자주 사용하지 않지만, 여전히 사용하는 기업들이 있으므로 그 프로젝트의 유지보수를 위해서는 클래스형 컴포넌트에 대한 개념은 알고 있어야한다. 클래스형 컴포넌트 import React, {Component} from 'react'; class App extends Component { render() { return( ) } } export default App; 함수형 컴포넌트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
주특기 주차로 접어들고 나서 상태가 아주 메롱이다. 아, 리액트란 무엇인가. 돔과 가상돔은 무엇인가, 라이프 사이클이란 무엇인가. 버전이 왜 이렇게 많은가. 쏟아지는 새로운 문법과 형식에 머리가 받아들이지 못하는 중……. 가장 헷갈리는 건 내가 그냥 정해주는 변수 이름인 건지, 반드시 이렇게 써야 하는 것인지가 헷갈린다는 거다. 모든 게 뒤죽박죽인 상태……. DOM(Document Object Model, 문서 객체 모델) 웹 페이지에 대한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기본적으로 여러 프로그램들이 페이지의 콘텐츠 및 구조, 그리고 스타일을 읽고 조작할 수 있는 API를 제공. 원본 HTML 문서의 객체 기반 표현 방식이며 DOM의 개체 구조는 노드 트리 구조 (하나의 부모 줄기가 여러개의 자식 나뭇가지, 나뭇..
항해를 시작하면서 느낀 점은 시간이 아주 빠르게 지나간다는 것이다. 2주 차에는 알고리즘 문제를 풀면서 컴퓨팅적 사고와 언어 기초 다지기를 했는데 모르는 문제를 붙잡고 있다 보면 금방 한 시간이 지나가곤 했다. 두 시간도 금방 지나가기도 했다. 문제를 풀고 같은 조원들과 풀이를 공유하면서 느꼈던 것은 다들 선호하는 함수나 코드가 있다는 것이다. 아주 당연한 소리긴 하지만. 아주 간단한 내장 함수임에도 나는 떠올리지 못하고 팀원들은 그것을 이용해 풀었을 때 느꼈다. 필요한 문법을 사용해서 쓰긴 하지만 순수하게 내가 떠올려서 쓰는 경우는 없었다. 보통 내가 익숙한 것들만 그렇게 이용했을 뿐. 그래서 기본적으로 많이 쓰이는 내장 함수라던가, 코드들을 좀 더 내 것으로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했다. 그래야 짤 수 있..
항해99를 시작하기 전에 국비 과정으로 웹퍼블리셔 수업을 들었고, 또 따로 자바 스크립트 기초 강의를 들었던 것들이 1주차인 지금 굉장히 많은 도움이 된다고 느끼고 있다. 그때 들을 때는 이렇게 기초적인 것만 배워서 내가 실력을 올릴 수 있을까? 했었는데…… 그 실력을 올리는 순간이 지금인 것 같다. 7기 신청 마지막 날에 들어왔던 내가 전에 배우지 않고 아예 제로 베이스 상태로 들어왔다면 아마 사전 시험 전에 포기를 했을 거라고 생각한다. 1주차 과제는 미니 프로젝트. 국비 과정에서도 조별 과제는 있었지만 그때는 단순하게 대화로 협의를 하고 각자의 작업물을 공유 폴더에서 넘겨받는 식으로 진행했기 때문에 제대로 된 협업이라고 하기 어려웠다. 1주차가 시작하기 전에 받은 git 강의를 들으면서도 제대로 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