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알고리즘 알고리즘이라는 용어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절차나 방법을 의미하는 단어로 넓은 범위에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알고리즘은 '문제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처리 절차를 하나하나 구체적인 순서에 따라 표현한 아이디어나 생각' 이라고 할 수 있다. 알고리즘이란 '생각' 또는 '아이디어'이기 때문에 형태가 없다. 따라서 어떤 것을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려면 눈에 보이도록 표현해야 한다. 레시피, 악보, 사용 설명서는 알고리즘을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기 위해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문장, 사진, 도형, 일러스트 등을 이용해 표현한 것이다. 프로그래밍 사람에게 전달하듯 컴퓨터에게도 어떤 명령을 내려야 하는데, 이때 문장, 일러스트, 그림, 사진 등은 컴퓨터가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
주특기 주차로 접어들고 나서 상태가 아주 메롱이다. 아, 리액트란 무엇인가. 돔과 가상돔은 무엇인가, 라이프 사이클이란 무엇인가. 버전이 왜 이렇게 많은가. 쏟아지는 새로운 문법과 형식에 머리가 받아들이지 못하는 중……. 가장 헷갈리는 건 내가 그냥 정해주는 변수 이름인 건지, 반드시 이렇게 써야 하는 것인지가 헷갈린다는 거다. 모든 게 뒤죽박죽인 상태……. DOM(Document Object Model, 문서 객체 모델) 웹 페이지에 대한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기본적으로 여러 프로그램들이 페이지의 콘텐츠 및 구조, 그리고 스타일을 읽고 조작할 수 있는 API를 제공. 원본 HTML 문서의 객체 기반 표현 방식이며 DOM의 개체 구조는 노드 트리 구조 (하나의 부모 줄기가 여러개의 자식 나뭇가지, 나뭇..

무어의 법칙에 따라 최근까지 CPU의 처리속도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프로세서의 발전 속도를 메인 메모리가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데이터를 가져와 CPU에서 빨리 처리를 해도 다음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가 오는 속도가 너무 느리기 때문에 시스템 성능 향상에 한계가 있다. 즉, 병목 현상이 일어난다. 이러한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 캐시가 등장했다. CPU와 메인 메모리 사이에 위치하며 속도 간극을 줄여주는 완충재 역할을 한다. 캐시(cache) 컴퓨터 분야에 사용되는 용어로, 데이터를 미리 복사해 놓는 임시 장소. 저장 공간이 작고 비용이 비싼 대신 빠른 성능을 제공. 캐시는 캐시의 접근 시간에 비해 원래 데이터를 접근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경우나 값을 다시 계산하는 시간을 절약하고 싶은 ..
항해를 시작하면서 느낀 점은 시간이 아주 빠르게 지나간다는 것이다. 2주 차에는 알고리즘 문제를 풀면서 컴퓨팅적 사고와 언어 기초 다지기를 했는데 모르는 문제를 붙잡고 있다 보면 금방 한 시간이 지나가곤 했다. 두 시간도 금방 지나가기도 했다. 문제를 풀고 같은 조원들과 풀이를 공유하면서 느꼈던 것은 다들 선호하는 함수나 코드가 있다는 것이다. 아주 당연한 소리긴 하지만. 아주 간단한 내장 함수임에도 나는 떠올리지 못하고 팀원들은 그것을 이용해 풀었을 때 느꼈다. 필요한 문법을 사용해서 쓰긴 하지만 순수하게 내가 떠올려서 쓰는 경우는 없었다. 보통 내가 익숙한 것들만 그렇게 이용했을 뿐. 그래서 기본적으로 많이 쓰이는 내장 함수라던가, 코드들을 좀 더 내 것으로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했다. 그래야 짤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