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항해99 Week I Learn - week03 본문

WIL

항해99 Week I Learn - week03

__g__ 2022. 5. 29. 23:49

주특기 주차로 접어들고 나서 상태가 아주 메롱이다. 아, 리액트란 무엇인가. 돔과 가상돔은 무엇인가, 라이프 사이클이란 무엇인가. 버전이 왜 이렇게 많은가. 쏟아지는 새로운 문법과 형식에 머리가 받아들이지 못하는 중……. 가장 헷갈리는 건 내가 그냥 정해주는 변수 이름인 건지, 반드시 이렇게 써야 하는 것인지가 헷갈린다는 거다. 모든 게 뒤죽박죽인 상태…….  

 

 

DOM(Document Object Model, 문서 객체 모델)

웹 페이지에 대한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기본적으로 여러 프로그램들이 페이지의 콘텐츠 및 구조, 그리고 스타일을 읽고 조작할 수 있는 API를 제공. 원본 HTML 문서의 객체 기반 표현 방식이며 DOM의 개체 구조는 노드 트리 구조 (하나의 부모 줄기가 여러개의 자식 나뭇가지, 나뭇잎들을 가질 수 있는 나무와 같은 구조)로 표현.

 

DOM은 HTML 문서로부터 생성이 되지만 항상 동일하지 않다.
HTML : 화면에 보이고자 하는 모양과 구조를 문서로 만든 것으로 단순 텍스트로 구성. (최초에 화면을 그릴때 사용하는 설계도)
DOM : HTML 문서의 내용과 구조가 객체 모델로 변화되어 다양한 프로그램에서 사용될 수 있음. (설계도를 이용하여 실제로 화면에 나타내지는 인터페이스)

 

서버리스(Serverless)

서버리스는 서버가 없다는 뜻이 아니다. 백엔드인데 직접 서버를 관리하지 않는 경우를 뜻한다. (= Backend without serverless)

서버리스가 아닌 경우, 서버는 언제나 요청에 응답할 수 있게 24시간 돌아가고 있지만 서버리스 경우, 내가 업로드한 함수는 잠들어 있다가 리퀘스트가 오면 깨어난다. 요청한 작업을 수행 후 다시 잠드는데 이 말은 서버가 24시간 깨어있지 않아도 된다는 말이다. 이전에는 유저가 적든 많든 똑같은 돈을 내야했지만, 서버리스의 경우, 사용량에 따라 백엔드 서비스를 제공받고 수행한 함수만큼만 돈을 내면 된다. (아무 요청이 없으면 공짜.)서버리스 기능은 응용 프로그램 사용자가 증가하면 확장되거나 복제된다. 저녁 시간에 손님이 많아지면 필요에 따라 식당을 늘릴 수 있는 임대인을 생각해 보면 되는 것.

 

 

'W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해99 Week I Learn - week06  (0) 2022.06.20
항해99 Week I Learn - week05  (0) 2022.06.13
항해99 Week I Learn - week04  (0) 2022.06.06
항해99 Week I Learn - week02  (0) 2022.05.22
항해99 Week I Learn - week01  (0) 2022.05.15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