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react S.A.실습 과제 본문
콘솔에 찍힐 b 값을 예상해보고, 어디에서 선언된 “b”가 몇번째 라인에서 호출한 console.log에 찍혔는지, 왜 그런지 설명해보세요. 주석을 풀어보고 오류가 난다면 왜 오류가 나는 지 설명하고 오류를 수정해보세요.
let b = 1;
function hi () {
const a = 1;
let b = 100;
b++;
console.log(a,b);
}
//console.log(a);
// 변수가 함수 안에 선언되었기 때문에 함수 밖에서 사용할 수 없음.
// 이 콘솔을 작동 시키고 싶다면 변수 선언을 바깥으로 빼면 가능.
console.log(b); // 1줄에 선언된 변수 b의 값.
hi();
// 함수 안에서 선언된 a = 1, b = 100. b++이므로 1을 더해 (1, 101) 출력
console.log(b); // 1줄에 선언된 변수 b의 값.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이스팅과 TDZ (0) | 2022.05.20 |
---|---|
얕은 복사와 깊은 복사 (0) | 2022.05.20 |
JavaScript 불변 객체 만드는 방법 (0) | 2022.05.20 |
JavaScript 자료형 (0) | 2022.05.20 |
JavaScript 특성 (0) | 2022.05.20 |
Comments